ICT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폰이 대중화됨에 따라 대부분 산업에서 경쟁 양상이 변하고 있다. 그 이유는 경쟁 환경과 도구가 바뀌면 그에 대한 비즈니스 방법도 달라지기 때문이다.2016 OECD 보고서에 따르면 정보통신 기술은 기술적인 변화가 매우 빠른 분야로 분석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실제로 정보통신기술의 변화로 어떤 비즈니스 모델들이 등장하였고, 이로 인해 어떤 경쟁...
I am happy to welcome the programmers of Japan to the worldwide community of Python users. Python is a wonderfully versatile language, and you will find new applications for it all the time. I hope that after reading this book you will create masterpieces of Python programming. Have fun!여러분을...
미래창조융합협회(정창덕 회장·고려대 교수)는 지난 5일 창조연구소 기공식과 창립 총회를 경기도 양평에서 가졌다고 밝혔다. 협회는 그동안 사단법인 한국 유비쿼터스협회(회원2400명·회장 정창덕)소속의 창조 융합연구회로 활동해오다 이날 350여명이 참여하는 단독 협회로 출범했다. 협회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함께 정책과 법제도를 위한 글로벌 창조경제포럼, 박람회, 인재양성 등을 위한 창조 경제 대학원 대학 설립, 연구소를 통한 정보 공유 등 창조...
이번 안희경의 인터뷰도 역시 국경과 민족을 뛰어넘는다. 이 인터뷰를 통해 지구별 곳곳이 다 겪고 있는 고통과 모순의 핵심을 부여잡고 고민하고 실천하는 사람들의 눈빛과 숨결을 접할 수 있다. 그들의 겸허하지만 단호한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다 보면, 내 마음 속에 공명(共鳴)이 일어남을 느낀다. 그리고 이 세상의 선한 변화를 위하여 그물 이음새 하나는...
“스타트업 열풍 속에 매일같이 언론에 매력적인 창업스토리가 넘쳐나는 요즘이다. 매출이나 이익을 내기도 전에 거액의 투자를 받아 이미 대박을 터뜨린 듯한 분위기의 스타트업도 많다. 그리고 이런 화려함 이면에는 허술한 사업계획과 지나친 욕심으로 무모하게 사업을 확장하다가 쥐도 새도 모르게 사라지는 기업도 흔하다. 하지만 누구도 이런 어두운 이야기는 터놓고 말하려 하지 않는다. 실패는...
국내 처음으로 대한민국의 2035년까지 미래 변화를 39가지 영역에서 예측한 ‘대한민국 미래보고서’가 나왔다. 국제미래학회 46명의 각 분야 전문가들이 2년여 동안 연구 집필, 교보문고에서 출간됐다. 미래는 어느 한 분야의 발달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기술이 발달하면, 사람들의 삶이 변하고, 사회의 구조가 변화하며 이로써 또다시 새로운 기술이 태동한다. 모든 것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생태계처럼...
식물은 개별적, 사회적 행동을 할 수 없는 수동적이고 무감각한 생물일까? 책 <매혹하는 식물의 뇌>는 단호하게 아니라고 말하며, 식물의 지능과 감각이 있음을 과학적으로 설명한다. 광합성을 위해 빛을 감지하여 성장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반응하는 수용체를 가지고 있으며, 토양 속 무기염류와 화학적 기울기의 위치를 알아내 뿌리를 뻗는다. 이는 빛과 냄새, 맛, 감촉, 소리 등을...
우리는 너무도 빠르게 변하는 시대를 살고 있다. 농경사회, 산업사회가 수백 년을 이어온 것에 비하면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정보사회라 부르기도 어려울 정도로 급변하고 있다. 이런 때에 미래를 얼마나 자세히 상상하느냐, 거기에 맞추어 어떤 전략을 가지고 접근하느냐가 우리의 미래를 보장한다. 이를 위해 카이스트(KAIST) 최고의 석학들이 미래를 예측하고 이를 대비하기 위한...
“한국 경제의 성장 경로는 크게 추격과 탈추격으로 나뉜다. 과학기술은 추격과 탈추격의 변화 경로에 가장 민감하고 빠르게 조응하는 분야기 때문에, 그 변화의 동학을 이해하는 데 적합하다. 추격기는 한국이 개발도상국가의 경로에 진입하여 빠른 경제개발을 추진했던 20세기 후반으로, 탈추격기는 한국이 경제적으로 선진 궤도에 오른 이후 추격형 성장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이...
현대는 그야말로 데이터의 시대다. 따라서 데이터 과학이 중요해진 이유도 자명하다.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많은 양의 데이터가 생성되고 저장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을 처리하고 해석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들을 추출하고 가공하는 코딩 능력과 의미 있는 결론을 끌어낼 수 있는 통계적 능력이 필요하다. ‘프로그래머보다는 통계를 잘하고, 통계학자보다는 코딩을 잘하는’ 데이터 과학자가 필요한 이유일 것이다.“데이터를...
인공지능을 그림과 수식으로 배울 수 있는 새 책이 나왔다.출판사 제이펍이 기획한 인공지능 입문자를 위한 AI 여덟 번째 도서 <그림과 수식으로 배우는 통통 인공지능>은 바퀴오리 2호의 모험을 따라가며 인공지능 기술 전반을 공부하는 새로운 커리큘럼을 제시한다.이 책은 주인공인 바퀴오리 2호가 미로를 빠져나가 스핑크스를 물리치는 여정을 담고 있다. 인공지능이 탑재된 바퀴오리...
지난해 7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개정안’ 일명 ‘크라우드펀딩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된 이후 올해 1월 25일부터 시행하고 있는 ‘크라우드펀딩’ 제도가 순조롭게 자리 잡아가고 있다.크라우드펀딩(crowdfunding)은 자금이 없는 사업가나 예술가 등이 프로젝트를 인터넷에 공개하고 목표금액과 모금기간을 정하여 ‘익명의 다수’에게 투자를 받는 방식으로 모금 기간 중에 후원을 해준 사람에게는 특전을 주거나, 정식...